한국철학사상연구회

자유게시판
『깊이 읽는 베르그송』 (류종렬 옮김) 출판 소식
김종미 2019.01.07 64
깊이 읽는 베르그송Henri Bergson

이제는 고전이 된 프랑스 철학자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의 대표작!
이 책은 질 들뢰즈의 『베르그송주의』와 더불어 베르그송에 대한 가장 위대한 두 권의 저작 중 하나이다.
장켈레비치는 1923년에 베르그송을 만난 뒤 이 책을 쓰기 시작했고 1930년에 출판했다.
이 책은 ‘회고성의 착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전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말하며
무(無)의 비판의 중심적인 특성을 알린다.

지은이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옮긴이 류종렬 정가 21,000원 쪽수 400쪽
출판일 2018년 12월 28일 판형 신국판 무선 (152*225)
도서 상태 초판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총서명 Mens, 카이로스총서 54
ISBN 978-89-6195-193-7 93160 CIP제어번호 CIP2018041346
도서분류 1. 철학 2. 서양철학 3. 미학

베르그송주의 전체는, 새롭게 반짝이는 서광 아래서, 그 철학자의 계속된 저술들 속에서, 그리고 마치 플로티노스의 유출설에서 위격들(위상들)이 각 위격을 그리는 것처럼 그려진 것이다. 게다가 똑같은 방식으로 라이프니츠가 자신의 저술들 각각에서 자신의 총체적 철학을 제시했었다 : 모나드들은 각각이 각각의 개별적 관점에서 전 우주를 표현하지 않는가? 전 우주는 단자론의 물방울 속에서도 스스로를 비추지 않는가? 왜냐하면 소우주는 우주의 작은 모형이기 때문이다. 생성 안에 있는 또 다른 철학자인 셸링이 쓰기를 “내가 고려하는 것은 항상 총체성이다.” ― 본문 중에서

『깊이 읽는 베르그송』 간략한 소개
프랑스 철학자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의 대표작. 이 책은 질 들뢰즈의 『베르그송주의』와 더불어 앙리 베르그송에 대해 쓰여진 가장 위대한 두 권의 저작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다. 장켈레비치는 1923년에 베르그송을 만난 뒤 이 책을 쓰기 시작했고 1930년에 출판했다. 이 책은 ‘회고성의 착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전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말하며 무(無)의 비판의 중심적인 특성을 알린다. 베르그송주의는 탐구의 이론들이 탐구 자체와 뒤섞여 있는 매우 드문 철학들 중의 한 철학이다. 지속의 경험은 그것의 진실하고 내재적인 스타일을 규정한다. 그 경험 속에서 우리는 ‘무한히 단순한’ 이미지를 재발견하는데 그 이미지는 진실로 베르그송 명상의 생생한 근원이다.

다발 진화와 직선 진화 사이에 중요한 차이, 그것은 전자 속에는 새로움과 내재성을 동시에 설명하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것이며, 반면에 후자는 목적론적 또는 기계론적 독단주의의 도식들 속에 기입되어 있고, 심지어는 그 계기들의 상호 침투과정을 통하여 잃어버린 예측불가능성을 되찾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생성의 철학은 진실로 서로 조화된 모순들의 만남이다. 마치 이타성이 거기서 이 내용과 더불어 서로 조화를 이루듯이, 새로움은 내재성과 더불어 서로 조화를 이룬다.

베르그송에게 자주 행해졌던 이원론이라는 어리석은 비난에 대해 어느 때보다 더 분명한 대답이 있다. 지성과 신비적 직관을 부여한 것도 동일한 생명이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도약이 있는데, 그 도약은 자기로 향하면서, 순환적 사회들을 내려놓고, 그리고 공간에 매료된 원을 중단시키고, 영웅주의를 낳는다. 두 가지 실체는 없다. 유일한 생명이 있을 뿐이다. 생명은 운동이며 경향성인데, 앞면에서 또는 뒷면에서 시작한다.

『깊이 읽는 베르그송』 상세한 소개
::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 1859~1941)은 누구인가?
1859년 10월 18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폴란드계 유대인으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고, 어머니는 영국인으로 종교적 신심이 두터운 분이었다. 베르그송은 어려서부터 모든 과목에 뛰어난 성적을 보이며 각종 상을 휩쓸다시피 했고, 특히 고교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을 한 그의 문제 풀이는 이듬해 수학 잡지에 실리기도 했다. 프랑스 엘리트들의 집합소인 파리 고등사범학교(ENS)에 입학해서는 프랑스 정신주의, 스펜서의 진화론 철학, 과학철학 등에 관심을 갖고 몰두했다. 22세에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30세에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앙제, 클레르몽페랑, 앙리 4세 고등학교 교수를 거쳐, 콜레주 드 프랑스의 철학 교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국제연맹 국제협력위원회(유네스코 전신) 의장을 역임하고, 최고의 레지옹 도뇌르 명예 훈장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41년 2차 세계대전 중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그가 생전에 출간한 저서로는 우선, 그의 박사학위 논문이자 그의 철학의 요체인 지속 이론을 정초한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에 관한 시론』(1889), 기억의 지속을 통해 물질과 정신의 관계를 규명한 『물질과 기억』(1896), 생명의 약동에 의한 창조적 생성의 우주를 그려 보인 『창조적 진화』(1907), 인류의 미래에 대한 준엄한 통찰과 열린 사회로의 도약 가능성을 역설한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1932) 등 그의 핵심 사상을 보여주는 4대 주저가 있다.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와 앙리 베르그송
장켈레비치의 첫째 저술인 이 책은 그가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던 시절에 썼다. 그리고 이 책이 발간된 때는 베르그송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1932)과 『사유와 운동자』(1934)가 나오기 전이었다. 또한 장켈레비치는 베르그송의 강의를 직접 들은 것이 아니라, 베르그송이 강의에서 손 떼고 난 뒤(1921), 국제지식인 협력위원회에서 활동을 시작한 시기에 베르그송을 만났다(1922). 장켈레비치는 러시아계 유대인 가계에서 태어나, 1922년 파리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하여 철학을 공부하였고, 1922년 학계를 은퇴한 베르그송을 1923년에 만나 죽 편지 교환을 했다. 그는 1926년에 철학 교수자격 시험을 1등으로 통과한 수재였다. 1932년 박사학위 논문을 셸링에 관하여 썼다. 파리고등사범학교에 갓 입학한 젊은 철학도(스무 살)가 예순셋의 노숙한 베르그송을 만나고 편지 교환도 할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었을 것이다. 스물여덟에 장켈레비치는 첫 저술로서 베르그송 사상을 옹호하는 글을 낸 것이다. 그는 우선 베르그송 사유에서 총체성, 자유, 기억, 생명에 주목하면서, 주로 수학과 논리 그리고 천문학과 물리학의 공간을 통한 인식은 베르그송의 시간(지속)과는 전혀 다른 차원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베르그송의 철학을 음악의 선율처럼 이해해 보라
『깊이 읽는 베르그송』은 러시아계 출신으로 프랑스 철학자인 장켈레비치가 썼다. 그는 베르그송의 사상의 주요 주제를 ― 긴 연결에서 매듭을 설정하듯이 ― 뽑아내어서, 그 매듭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파동을 그리듯이 넓게 확장하며, 음악, 문학, 수학, 과학을 넘나들며 설명하고, 게다가 러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개념들을 가져다가 사용하기도 한다. 베르그송의 사상의 다양한 측면을 부각하였는데, 그는 베르그송의 어휘를 다른 표현 문구로 바꾸기를 서슴지 않고 있다. 그런데 베르그송의 사상이 이원론이라기보다 이중성의 강조에 있었듯이, 저자는 개념들이 서로 대립되는 측면보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표출하는 방식에 더 주목한 것 같다. 이는 상층과 심층의 대립이 아니라, 심층에서 상층으로 풀려나가는 방식이며, 이런 점에서 그도 베르그송도 유대인의 동적(動的) 사유의 길을 따라간 것으로 읽힌다.

풀려가는 선들 속에서 또는 그물망 속에서 전체와 부분은 따로 떨어져 있지 않아서, 서로 연결하여 읽기에 ― 마치 음악에서 음표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한 음악의 선율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듯이 ― 주의하라고 한다. 그래서 그의 설명과 해설들은 베르그송의 주요 주제가 속한 저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베르그송 사유 전반에서 이리저리 연결하여 설명하고 주를 달았다. 게다가 저자 본인도 자신의 사유에 맞게 여러 어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이방인으로서 읽기에 불편함이 있지만, 저자 본인으로서는 자기 조국(러시아)과 민족(유대인)의 애정이 끈끈히 묻어나 있다. 한 가지 덧붙여야 할 것은 아셰키나제 유대인이 초월적 대상에 대한 사고에 더 많이 관여한다면, 세파라드 유대인은 연대와 확장에 더 관심을 표현하는데, 베르그송이 아셰키나제 가계이지만 파리 태생으로 세파라드 유대인이듯이, 저자는 아셰키나제 출신으로 활동을 세파라드 유대인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동류의식이 있다는 것이다.

분할, 분리, 절단이 아닌 측면에서 사유한다는 것
베르그송의 사유의 기본은 지속이다. 그것은 표면의 현상이나 초월의 절대성과 연관이 없다. 그것은 어쩌면 자연이 오랫동안 거쳐 온 과정에 대해 그리고 인류가 생각을 확장하면서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분할, 분리, 절단이 아닌 측면에서 사유한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베르그송의 이런 사유에는 문제제기의 올바름이 필요하고, 그리고 실증적 경험을 통한 정확성이 철학에도 요구된다고 한다.

주지주의적 사고와 유일 신앙의 창조적 관점에는 회고적 시각이 있어서 그 자신들에 맞는 것들만을 관념적으로 또는 논리적 귀결로서 정합적인 것들만을 논리실증으로 받아들인다. 이에 비해 베르그송은 자연의 긴 역사, 생명의 긴 역사에서 생성과 과정, 발전, 특히 진화라는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정확히 규명해 보자고 한다. 이때 베르그송은 많은 문제들이 문제제기만 잘해도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올바른 문제제기는 문제-해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해소에 이르는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고 있었다.

“우주는 신들을 만드는 기계다”
기존의 서양 철학사가 주지주의, 초월주의, 절대주의를 중요시하는 사고라면, 베르그송은 역동론과 작동(l’acte)을 강조한다. 자연이 전자의 사고에서는 수동성인 데 비해, 후자의 사유에서는 능동성과 자율성을 지닌다. 인간은 자연(la nature)이라는 자신의 본성(sa nature)을, 지구의 자연 역사 45억 년과 생명 진화 역사 35억 년의 불가분의 과정에서 안으로(내재성으로)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장켈레비치는 ‘내재성’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았으며, “안에서부터(dedans)” 철학을 하자고 한다. 그리고 그 연속이 잘리지 않고, 지속하고 있는 철학을 하자고 한다. 그의 연속의 철학은 그의 소크라테스에 대한 관점이나, 플로티노스에 대한 강의록에서 드러난다. 베르그송에 관한 역자 류종렬의 3부작 중 첫째 번역 『처음 읽는 베르그송』(바르텔미-마돌)이 플라톤주의에서 본 베르그송이라면, 둘째 번역 『깊이 읽는 베르그송』(장켈레비치)은 플로티노스와 연관을 잘 보여 준다. 셋째 책(이후 출간될 류종렬의 저서 『달리 읽는 베르그송』)에서는, ― 스피노자의 견해가 자연 즉 신이라는 관점에서 자연이 수학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풀어보려고(ex-pliquer) 했듯이 ― 베르그송은 생물학과 심리(영혼)학, 즉 생리심리학을 통해서 자연 즉 신에서부터 생명을 풀어내는 과정(생성)을 설명하려 했다고 본다. 따라서 베르그송은 자신의 마지막 저술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의 마지막 구절에서 “우주는 신들을 만드는 기계”라고 한다. 요컨대, 자연은 신적인 인간들(생명체)을 만드는 도구이며 기계라고 할 수 있다.

지은이·옮긴이 소개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Vladimir Jankelevitch, 1903~1985)
프랑스 철학자, 음악학자로, 1903년 프랑스 부르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러시아계 유대인으로 박해를 피해서 프랑스로 왔다. 1922년에 파리고등사범학교(ENS)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그의 스승은 브랑슈비끄(Leon Brunschvicg)다. 1923년에 베르그송을 만나서 편지 교환을 시작하였다. 1926년 교수자격 시험을 1등으로 통과, 다음 해부터 1932년까지 프라하 프랑스연구소에서 강의하며 셸링에 관한 학위 논문 『셸링의 만년의 철학에서 의식의 오디세우스』(L’Odyssee de la conscience dans la derniere philosophie de Schelling, 1933)를 작성했다. 1936년 툴루즈 대학을 거쳐 릴 대학 도덕철학 교수로 강의하였다. 독일 점령하에 비시 정권에서 유대인이란 이유로 파면당했다. 그 후 군에 입대했으나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툴루즈에서 가명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레지스탕스에 가담했다. 전후에 릴 대학을 거쳐 1951년에서 1979년까지 소르본에서 도덕철학 교수를 지냈다. 1968년 5월 소르본에서 그는 학생들의 편을 들었다. 많은 저술 가운데, 철학 저술로는 『제1철학 : ‘거의’의 철학 입문』 등이, 음악 저술로는 『음악과 말할 수 없는 것』 등이 있다. 우리말로는 『죽음에 대하여』가 번역되어 있다. 그가 영향을 받은 인물로는 베르그송(H. Bergson), 짐멜(G. Simmel), 체스토프(Leon Chestov), 셸링(Schelling), 플로티노스(Plotin)이며 그가 영향을 준 인물로 제르파뇽(Lucien Jerphagnon), 퐁뜨네(Elisabeth de Fontenay) 등이 있다.

류종렬 (柳鍾烈, 1953~ )
안동 출생. 여러 대학에서 철학 강의를 하였다. 베르그송 사상에서 생명을, 즉 ‘불’의 내재성과 들뢰즈의 다양체를 탐구해 왔고, 이 양자를 연결하고자 한다. 학위 논문은 「베르그송 철학에서 인간본성에 관한 연구」이다. 번역으로 『프랑스 철학사』(공역), 『르네의 일기』, 『스피노자』, 『파스칼』(공역), 『처음 읽는 베르그송』 등이 있다. 논문으로「베르그송의 자유, 그리고 들뢰즈의 반복」, 「자아의 근원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 「새로운 인간관의 탄생」 등이 있다. 역자의 블로그 : 마실에서 천사흘밤 cafe.daum.net/milletune


책 속에서 : 베르그송 깊이 읽기
베르그송 사유에서 스피노자주의는 실체적으로든 의식적으로든 사물들에 관한 성찰과 구별되는 방법이 아니라, 그 방법은 오히려 성찰에 내재해 있다. 그 방법은 어느 정도로는 성찰에 대한 일반적 진행방식을 묘사하고 있다. 베르그송은 많은 검토를 거쳐서 이데올로기적인 환영들(유령들)의 무상함에 관해 이전부터 강조했다.
― 제1장 유기적 총체성, 14쪽

자유 행위는, 한 인간이 저자인 모든 저작품들 중에서 그에게 가장 본질적으로 속하는 하나의 저작품이다. 그는 예술가가 자기 예술품에서 인정하는 것보다 더 잘 스스로를 그 저작품 안에서 인정하고 있고, 아버지가 자기 자식을 인정하는 것보다 더 잘 스스로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것은 보다 깊은 부성父性 이며, 능력 있고 내밀한 공감이다. 자유는 총체적 과거로부터 자유로워진다.
― 제2장 자유, 108쪽

정신은 자연의 찬양할 만한 변이성에게 자신이 밀어냈던 간략한 노래 부르기를 강요하지 않는다. 정신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오면서 자기의 고유한 이미지와는 다른 사물을 만나기를 원했으리라.
― 제3장 영혼과 신체, 175쪽

본능은 생명 자체이다. 따라서 본능은 자신의 고유한 영역에서 절대적 인식이며 신지학적 방식이다. 생물학자들은 사실상 어떤 쇼펜하우어와 어떤 드리쉬의 형이상학 안에 포함된 본능의 신비에 반대하여 작동하는 경향성을 갖는다.
― 제4장 생명, 204쪽

가차 없이 냉혹한 명철함으로, 베르그송은 합금들을 적발해 내고, 또는 그가 말한 대로, 반대되는 실재성들 사이에서 서로 작동되는 교환들을 알아챈다. 그러나 베르그송주의의 고유함은 합금은 합금이라는, 구체적인 것은 또한 불순한 것이라는 관점을 결코 잃지 않는다는 것이다.
― 제5장 영웅주의와 성스러움, 261쪽

그러나 특이한 숙명은, 자기의 크기가 긍정되는 작동 자체 안에서 정신이 자기의 고유한 소멸에 휴식 없이, 작업하기를 원한다. 진화는 이런 비극을 요약한다 : 즉 생명은 온전하게 되기 위하여 가능적인 것으로 나와야 한다. 왜냐하면 실재적인 것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 제6장 개념들의 무와 정신의 충만, 300쪽

따라서 논리적 계열은 살아왔던 질서가 끝나는 곳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하나의 시작(lalpha)은 다른 하나의 끝(lomega)에 걸려 있다. 논리학은 생명의 되돌릴 수 없는 질서를 반대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제작과정의 중첩할 수 있는 도식을 자기 위에 다시 포개지도록 전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논리학은 셀 수 없을 정도의 양을 나열하기에도, 소진할 수 없는 양을 소진하는데도, 또 차후에 지속의 무한소의 운동들을 재구성하는 데도, 이르지 못한다.
― 제7장 단순성, 그리고 환희에 대하여, 305쪽

시간론적, 연속론적, 내재론적, 그리고 특히 다원론적 학설은 히브리의 유일신론과 공통점들이 없는가? 베르그송주의와 유대주의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들 중에서 몇 가지 차이들은 시간에 관한 것이고, 다른 몇 가지 차이들은 종말론과 초월론에 관한 것이다. 베르그송주의는 근원적으로 윤리적 소명의 철학이 아니었다.
― 부록 1 : 베르그송과 유대주의, 349쪽

유기체주의들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는 이렇게 말하자 : 총체성들만이 있다. [현재로] 있는 모든 것은 꽉 차 있으며, 완전하게 생명적이고 전체적이며, 자기에게 자족한다. 그럼에도 그 충만은 항상 동등하게 꽉 차 있는 것 같지도 않고, 경박하고 나쁜 또 보잘것없는 피상적인 인간은 항구적으로 총체화되는 것 같지도 않다. 영혼 전체가 각각의 동기에서 모여질 때, 우리가 다시 반투명하게 되는 것은? 자유로운 작동에서이다.
― 부록 2 : 영혼 전체와 더불어, 372쪽
 
출간 기념 역자 특강 안내
『깊이 읽는 베르그송』 출간을 기념하는 역자 특강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깊이 읽는 베르그송 출간 기념 역자 특강
강연 주제 : 앙리 베르그송과 유대주의
강연 : 류종렬 (옮긴이)
일시 : 2019.2.17.(일) 오후 2시
장소 : 다중지성의 정원 (문의 02-325-2102)

함께 보면 좋은 갈무리 도서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황수영 지음, 갈무리, 2014)
현대 프랑스 철학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한 사유의 흐름을 밝은 빛 아래서 조명하는 책이다. 그것은 단순히 각 철학자들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서 이들을 서로 대면시키고 그들이 전력을 다해 씨름한 문제들을 공통의 시험대에 올려놓는다. 독자는 이 책에서 베르그손이 20세기 초반 프랑스 철학에 던져 놓은 씨앗이 흩어져 결실을 맺는 과정 혹은 이 결실을 통해 새로운 씨앗이 던져지는 과정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의 사유가 베르그손에게서 나온 가지들을 매개로 서로 접속하는 과정을 따라가 보는 흥미를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0 개의 댓글
(댓글을 남기시려면 사이트에 로그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